2025년 실업급여 계산기(+실업급여신청 꿀팁)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실업급여 계산기(+실업급여신청 꿀팁)

by 서초동억사마 2025. 3. 11.
300x250

안녕하세요, 방배동 억사마입니다! 💰

 

새해가 시작되면서 2025년 실업급여 실수령액 계산 방법과

비과세 혜택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실업급여를 놓치지 않고 정확히 받을 수 있는 꿀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 2025년 실업급여 실수령액 계산법

 

실업급여는 퇴직 전 3개월 동안 받은 평균 일급의 60%를 소정급여일수와 곱해서 계산해요.

계산 결과가 상한액과 하한액의 기준을 넘어서거나 미달하면, 각각의 한도로 조정됩니다.

 

🔹 2025년 하루 실업급여 상한액: 66,000원

 

🔹 2025년 하루 실업급여 하한액: 64,192원 (최저임금 80% 적용)

예를 들어, 월평균 급여가 250만 원인 경우, 하루 평균 급여는 약 81,521원이며,

이 금액의 60%인 약 48,912원은 하한액(64,192원)보다 적으므로 하한액이 적용되어 하루 64,192원을 받을 수 있어요.


🔸 2025년 실업급여 신청 절차

 

1️⃣ 퇴직 서류 준비 퇴직한 회사에서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상실 신고서'를 받아야 해요.

미리 요청하면 더 빠르고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답니다.

 

2️⃣ 자격 확인 및 구직 등록 온라인에서 본인의 고용보험 가입 기간과 자격을 확인하고,

구직등록까지 완료해 주세요.

 

3️⃣ 사전 교육 이수 온라인으로 실업급여 관련 교육을 필수로 이수해야 하며,

이후 고용복지센터를 방문하여 수급자격 인정 신청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4️⃣ 실업 인정 및 급여 수령 1~4주마다 구직활동 상황을 온라인으로 보고하면,

다음날 바로 급여가 지급됩니다.


✅ 실업급여 비과세 한도 놓치면 손해!

 

많은 분들이 놓치는 부분인데, 실업급여는 근로소득과 달리 세금이 없는 비과세 소득입니다.

따라서 계산된 금액 전액을 실수령할 수 있어, 더 큰 경제적 이득을 얻을 수 있어요.

 

비과세 혜택 덕분에 실직 기간 중에도 생활비 부담을 줄이세요.

새로운 직장을 얻기전까지 기본적인 생활비로 사용하시면서, 살아남아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