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커피한잔씩 안마시고,미국주식 사면 30년후에 일어나는일?
본문 바로가기
핫뉴스

매일 커피한잔씩 안마시고,미국주식 사면 30년후에 일어나는일?

by 서초동억사마 2025. 3. 4.
300x250

티끌 모아 태산 vs 티끌 모아 티끌

두 표현 모두 나름의 진실을 담고 있다.

중요한 건 티끌을 모은 후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는 점이다.


하루 5,000원을 아껴본다면, 이 작은 절약이 미래에 얼마나 큰 힘을 발휘하는지 직접 경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루 한 잔의 커피를 포기하고 5,000원을 절약한다고 해보자.

  • 하루 절약: 5,000원
  • 한 달 절약: 5,000원 × 30일 = 150,000원

이 15만원을 미국 주식에 투자하면, 시간이 흐르면서 복리의 마법으로 엄청난 자산으로 성장할 수 있다.

  • 30년 후: 약 3.3억 원
  • 40년 후: 약 9.5억 원

복리의 힘을 간과하면 티끌 모아 티끌이라는 결과를 낳을 수 있지만,

올바른 투자와 시간의 결합은 티끌이 태산으로 변하는 놀라운 효과를 보여준다.

(만약 누군가 9.5억 원을 티끌이라고 말한다면, 그때는 아무 대답도 할 수 없을 것이다.)

 

한편, 20세기 최고의 학자 중 한 명인 아인슈타인은 복리를 세계 8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꼽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실제 인용 여부에 논란이 있지만, 그 의미는 분명하다.

복리를 제대로 이해하면 돈을 불릴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대가를 치르게 마련이다.

 

만약 하루에 커피 한 잔(5,000원)과 담배 한 갑(5,000원)을 포기한다면?

  • 30년 후: 약 6.6억 원
  • 40년 후: 약 18억 원

여기에 군것질이나 야식 등 불필요한 지출을 추가로 줄여 5,000원을 더 아낀다면?

  • 30년 후: 약 9.9억 원
  • 40년 후: 약 27.5억 원

이 글이 단순히 즐거운 소비를 억제하라는 의미는 아니다.

일상의 작은 지출 하나하나에 조금씩 신경을 쓴다면, 복리 투자의 놀라운 효과를 직접 체험할 수 있다는 메시지다.

 

시간이 지나면 물가가 오르겠지만, 그와 함께 임금과 투자액도 늘어나 결국 더 큰 자산을 만들어낼 것이다.

특히 미국 주식 시장은 지난 140년 동안 꾸준히 우상향해왔다는 점을 잊지 말자.

  • 나스닥 종합지수: 1971년 출범, 2025년까지 연평균 11.2% 수익률
  • S&P500 지수: 1957년 출범, 2025년까지 연평균 10% 수익률
  • 다우존스 배당 100 지수: 2011년 출범, 2025년까지 연평균 11% 수익률

며칠 전 트럼프 코인이 하루 만에 7배의 상승을 보인 사례와 비교하면,

연평균 10%라는 수치는 겉으로는 낮아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복리 투자의 핵심은 돈을 잃지 않고 안정적으로 증식시키는 데 있다.

단타매매의 위험을 감수하다가 한 번의 큰 손실로

10년 간의 공들인 결과물이 무너질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오늘부터 불필요한 지출을 조금씩 줄이고,

미국 증시에 적립식으로 장기 투자한다면 분명 티끌이 태산으로 불어나는 기적을 직접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로, 금융 지식과 투자 전략을 꾸준히 배우며 자신만의 재테크 습관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

단순한 절약을 넘어, 현명한 투자와 자기 계발이 합쳐질 때 미래의 재정적 자유는 더욱 가까워질 것이다.

 
 



728x90